평화 소식
“코로나 인정한 지난달 북한, 되레 마스크와 백신 수입 중단”
입력: ’22-06-21 09:20 / 수정: ’22-06-21 16:37
▲ 북한 인민군 병사들이 평양 시내 약국에서 의약품을 주민들에게 나눠주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로이터 자료사진
북한이 갑작스럽게 지난달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해 감염병 통제와 예방에 쓰이는 물품 수입을 중단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중국 세관의 통계를 인용해 21일 보도했다. 북한은 불과 몇달 전만 해도 마스크와 산소호흡기 등을 중국으로부터 사들인 터라 이렇게 방역 물품 수입을 중단한 이유를 놓고 궁금증을 키운다고 통신은 전했다.
북한이 처음으로 코로나19 발병 사실을 인정한 것이 지난달 12일이었으니 오히려 수입을 늘려야 할 시점에 끊어버린 것이어서 의아하다.
조선중앙통신(KCNA)은 그 뒤 매일 신규 환자 발생 사실을 집계해 보도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 급격히 줄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받고, 양상 판정을 받았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달 초 북한의 방역 상황이 더 좋아지긴 커녕 더 나빠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런데도 북한이 지난달 어떤 마스크, 체온계, 의료용 장갑, 산소호흡기, 백신도 수입하지 않은 것으로 20일 중국 세관으로부터 입수한 무역 통계에 잡혔다는 것이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북한은 마스크 1060만개, 체온계 9만 5000개, 건강한 조직을 해치지 않는(non-invasive) 산소호흡기 1000개를 중국에서 수입했다.
한국과 미국, WHO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백신 등 도움의 손길을 내밀 용의가 있다고 거듭 밝혔지만 북한 당국은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중국이 지난달 북한에 수출한 물품의 액수는 4월 9810만 달러(약 1267억원)에서 지난달 1451만 달러(약 187억원)로 85.2%나 급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콩(大豆), 그래뉴 당(糖), 콩가루, 밀가루 순으로 수입량이 많았다. 각각 297만 달러, 264만 달러, 149만 달러, 84만 6598 달러어치였다.
중국 외교부는 국경도시 단둥에서 코로나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이곳을 통해 북한을 오가는 화물열차 운행을 지난 4월 29일부터 중단시켰다고 발표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