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소식


자유아시아방송 “북 국경경비대 6명 이달초 압록강 건너 중국으로 탈출”

입력: ’21-03-27 05:46  /  수정: ’21-03-27 06:52
북한군 국경경비대 대원 6명이 배고픔과 고된 노동에 염증을 느껴 중국으로 집단 탈출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을 인용해 영국 일간 가디언이 24일(현지시간) 전했다.

경비대 대원들이 한둘 중국으로 달아나는 일은 종종 있어왔지만 이렇게 한 분대가 집단 탈출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신문은 전했지만 2012년 1월과 2017년 3월에도 국경경비대원 6명이 무리를 지어 탈출한 일이 국내 언론에도 소개됐다.

제25 국경경비대 여단 소속의 이들은 이달 초 야간 경계근무를 서던 중 무기를 지닌 채 압록강을 건넜다. 이들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국경이 폐쇄되면서 노역이 가중되고 영양 실조가 겹치는 것을 불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혜산의 군 소식통은 RFA 한국어 방송에 “6명은 2일 밤 야간 경계근무를 선 뒤 다음날 아침까지 제시간에 돌아오지 않았다”며 “수색팀이 투입돼 국경 전체를 뒤졌지만 이들 6명이 무장한 채 강을 건너 중국으로 달아난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내려지고 극심한 동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보통 국경경비대원들은 전문 밀수꾼들을 봐주고 결탁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 병사들에 견줘 나은 상황인데도 일년 넘게 국경이 폐쇄되면서 식량 부족 등 상황이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병사들이 먹을 거리를 마련하기 위해 농민들의 가축을 총으로 쏜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정부는 병사들이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주민들이 남는 옷을 기부하도록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다.

미국 트로이대학 서울캠퍼스의 대니얼 핑크스턴 교수는 “북한 군에서의 생활은 이미 어려운데 10~12년씩이나 근무해야 하는 데다 국가 건설계획에 따라 강제노동에 투입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국 당국도 북쪽의 통보를 받고 국경을 수색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해당 부대는 아예 해체되고 지휘관이나 관련된 모두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한동안 피바람이 불 것”이라고 군 소식통은 전했다.

지난달에도 잠수복과 오리발을 걸친 남성이 삼엄한 경계가 펼쳐지는 휴전선 일대를 헤엄쳐 귀순했고, 지난해 11월에도 3m 높이의 철책을 넘어온 이가 있었다고 신문은 전하면서 북한의 사정이 악화돼 목숨을 걸고 탈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확대보기
▲ 지난 23일 수도 평양에 주택 1만세대를 짓는 착공식에 참석한 북한 군인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자유아시아라디오 보도를 인용해 국경경비대 대원 6명이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달아났다고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조선중앙TV 화면 연합뉴스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 TEL 02-2000-9040
COPYRIGHT ⓒ 2019 Seoul Peace Institute All Right Reserved.